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이야기

hdd파기 하드디스크폐기 비용 디가우징 vs 파쇄

여러분~ 혹시 사용하진 오래돼서 인식이 잘 안되거나 필요가 없어진 HDD SSD는 어떻게 파기하고 계신가요?

그냥 포맷하고 버리신다면 여러분들의 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뉴스를 보면 종종 포맷한 핸드폰 하드를 복구해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자체포맷으로는 보안을 100% 지킬 수 없습니다. 정말 중요한 자료들이 있다면 전문업체에 맡기셔야 하는데요.

 

오늘은 하드디스크폐기 방법인 디가우징 파쇄 천공을 비교해드리는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비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디가우징 하드파쇄 하드천공
폐기방법 자기장을 이용한 데이터 삭제 분쇄기로 잘라냄 천공기로 구멍을 냄
장점 데이터 완전삭제
편리한 자체이용성
단가가 저렴함
빠른 작업속도
눈 앞에서 확인가능
눈 앞에서 확인가능
단점 비싼 가격
시간이 오래걸림
전문업체 부족 데이터 복구가능성이 높음
느린 작업속도
비용 (ea) 10,000원~30,000 5000~20000 10,000~20,000

위 표를 보시면 대략적인 하드디스크파쇄 방법과 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부분들이 많으니 급하신 분들은 표를 확인해주시고 다른 분들은 내용을 더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 위 표에는 없지만 세가지 방식 모두 HDD의 재사용은 불가합니다. 재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포맷을 하셔야 합니다^^ (이론적으로 디가우징은 부품을 교체하면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교체비용이 더 들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1. 하드파쇄

먼저 하드파쇄 방식은 은행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세단기로 종이를 갈아내는 방식을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철과 플라스틱을 갈아낼 수 있는 강력한 분쇄기로 잘라내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빠릅니다. 하루에 천개도 가능합니다.

 

또 다른 작업 방식들과 다르게 눈앞에서 파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큰 메리트가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잘린 디스크를 이어 붙이면 복구가 가능하나 현실적으로는 갈갈이 찢긴 디스크를 찾아서 붙인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하며 작업 후 용해(약품으로 녹이는 과정)를 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점으로는 전문업체가 아직까지는 많지 않고 시장에 완전히 자리 잡은게 아니기 때문에 표준단가라는 것이 없고 업체마다 서비스품질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가격은 보통 개당 5,000~20,000원 선으로 알려졌으며 여기에는 차량이 별도로 오기 때문에 출장비가 붙습니다.

최소수량(금액)이 정해진 곳도 있기 때문에 여러 업체를 비교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디가우징

자기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물리적인 파괴가 아니라 근본적인 데이터 제거가 가능합니다.

 

단점은 하나씩 기계에 넣어야 해서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대략 30초면 끝나지만 넣고 빼는 시간까지 생각하면 개당 1분은 잡아주셔야 합니다.

 

일련의 과정을 대부분 손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쉬는 시간도 필요하고 하드파쇄에 비하면 하루에 작업할 수 있는 양이 한정적입니다. 대략 200~300개 정도가 한계입니다.

 

하드디스크폐기비용도 개당 3만원대로 더 비싼편입니다. 그럼에도 가장 유명한 방식이고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업체에 맡기면 눈앞에서 보는 것은 어려워 운송 중 유출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기계만 구매하면 사무실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요.

고철이 된 HDD를 개별적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단점과 초기 구매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습니다.(천만원 이상)

 

 

 

 

 

 

 

 

 

 

 

3. 하드천공

개인적으로 하드천공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천공기로 구멍을 뚫어 물리적으로 파기하는 방식인데 과거에는 파쇄업체가 별로 없어서 이용했다지만 디가우징과 마찬가지로 한 개씩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파쇄에 비해 작업시간도 오래걸리고 단가도 비싸 메리트가 없습니다.

 

가장 쉽게 설명하면 드릴로 구멍을 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정 부분에만 구멍을 내기 때문에 데이터복구 위험성도 파쇄보다 높은 편입니다. 금액이 저렴한 것도 아니라 비교는 해드렸지만 추천은 드리지 않습니다.

 

 

 

 

 

 

 

 

 

 

하드디스크를 폐기하는 세가지 방법을 설명드렸는데요. 이론적으로는 셋 모두 복구가 가능합니다.

(어디까지는 이론적으로 입니다.) 가능성만 보자면 천공>파쇄>디가이징 순서입니다.

 

하드디스크폐기 비용은 일반적으로 보면 디가우징>천공>파쇄 순서입니다.

서비스 별로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나에게 더 맞는 방식을 골라주시면 됩니다.

 

만약 하드파쇄를 계획중이시라면 문서종합관리 전문업체 일사천리다큐먼트로 연락주세요.

고객님의 소중한 정보를 지켜드리겠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일사천리시스템주식회사 | 정영민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38,일신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05-86-53183 | TEL : 080-337-1472 | Mail : webmaster@1472s.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20-서울마포-1887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