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청소마스터 오클린입니다.
이사를 해보신분 계획중이신분이라면 모두들 한 번쯤 이런 고민 해보셨을 겁니다.
청소를 직접할까? 아니면 그냥 돈주고 업체에 맡길까? 무거운 이삿짐을 나르거나 가구들을 분해조립하는 것이 전문적인 영역의 느낌이라면 뭔가 쓸고 닦는 것 정돈 내가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직접해도 큰 차이가 없는 것이 현실이며, 심지어 이용한 후에 내가 한 게 더 낫네!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체를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집 전체를 혼자서 하려면 시간이 진짜 많이 들고 골병 납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괜찮은 회사를 고를 수 있을까요? 그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오늘은 합리적인 이사 입주청소 비용 및 소요시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평 | 소요시간 | 적정인원 | 비용(오클린 기준) |
10평이하 원룸 | 2시간 | 1명 | 200,000원 |
15평 | 3시간 | 2명 | 200,000원 |
25평 | 5시간 | 3명 | 평당 16,000원 |
34평 | 7시간 | 3명 | 평당 16,000원 |
50평 | 8시간 | 4명 | 평당 16,000원 |
1. 평형에 따른 입주청소 소요시간
국민평수라고 불리는 34평의 경우 3명의 인원이 오면 약 7시간이 걸립니다. 새벽이나 밤 늦게는 소음문제로 작업하기 어려우니 아침 8시에 시작한다고 하면 오후 3시경에 끝난다고 봐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중간에 점심은 먹어야겠죠^^;; 사람인지라 계속 일만할 수는 없으니 잠깐 쉬는 것도 포함된 수치입니다. 회사에 따라서 여기에 준비나 마무리시간도 제외하고 시간을 줄여서 올린 곳도 있을 텐데요. 중요한건 34평 정도면 아침 8시에 시작하면 오후 3시정도에 끝난다는 사실입니다.
만약 오전 중에 끝낸다거나 오후 1시쯤에 끝난다면 상당히 이상하겠죠? 그래서 확인하실때는 작업을 몇 시에 시작하고 언제쯤 끝나는지 물어보는게 더 정확합니다.
소형 국민평수라고 불리는 25평은 3명이 들어가면 5시간 정도 걸립니다. 즉 오전 9시에 시작하면 오후 2시에 끝납니다. 차량이동시간을 고려하면 대부분 하루에 한집만 작업이 가능합니다. 원룸과 같은 소형평수를 제외하고 하루에 2집씩 한다는 업체는 고르시지 않는 걸 추천드립니다.
50평대 이상이라면 작업인원을 더 투입해서 주간에 끝내야 합니다. 저희가 최근에 작업한 집도 오전 9시에 시간해서 오후 5시에 끝냈습니다. 앞서 이야기드린것처럼 새벽이나 야간에 작업하는 것은 소음문제가 있어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평짜리 원룸이라고 시간이 극적으로 줄지는 않습니다. 바닥면적은 좀 줄어들지 몰라도 화장실, 싱크대, 찻장 등과 같은 기본적인 시설은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들어갑니다.
2. 평형에 따른 입주청소 비용
앞에서 보여드린 표는 저희 오클린 기준입니다. 업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저희는 15평이하는 일괄적으로 최소비용 20만원을 받고 있습니다. 1평짜리라도 동일합니다^^;;
소형이라고 금액이 극적으로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작업시간이 극적으로 줄어들지 않는 이유도 있지만 이동시간이라는 보이지 않는 시간도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저희 홈페이지 공시된 가격은 기준 가격으로 집 컨디션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최소 3군데 이상은 비교견적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공시된 가격이 낮더라도 막상 견적을 받아보면 금액이 올라가거나 작업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혹은 시간이나 인원이 적게 들어갑니다 ㅎㅎ
3. 좋은 업체 고르는 방법
1) 위 표를 기준으로 인원과 시간이 충분히 투입되는 곳을 고르세요.
가격이 싸다고 좋은 게 아닙니다. 아 그냥 내가 할 걸하고 후회하는 분들을 보면 대부분 무조건 싼 곳을 외치다가 적은 인원이 후딱 끝내고 가는 곳을 택해서 그렇습니다. 청소는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2) 친환경세제 사용 시 작업시간을 최소 1.2배로 잡아주세요.
친환경이라는 단어는 참 듣기 좋지만 딱 한마디로 말하면 잘 안닦입니다. 일반 세제를 사용하는 것 만큼 하려면 시간을 더 써야 합니다. 1.2배도 정말 최소로 잡은 겁니다. 사람이 더 들어오든 시간을 더 쓰든 해야 퀄리티 있는 작업이 가능합니다.
3) 사업자등록, 홈페이지, 고객센터 확인
이거 3개만 확인해도 반은 먹고 들어갑니다. 사업자등록증이 있다는 정상적인 회사라는 소리고 홈페이지가 있다는 건 그래도 관리를 하고 있다는 뜻이고 고객센터가 있다는 건 A/S발생 연락할 곳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개인번호의 경우 차단을 박거나 안받으면 답이 없습니다^^;;)
4. 이사청소와 입주청소의 차이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비용이나 소요시간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누군가 살았던 집에 들어가냐 새 집에 들어가냐에 차이인데 묵은 때 제거와 먼지제거라는 중점을 두는 부분만 다를 뿐 실질적인 작업시간은 비슷합니다. 단 오래된 집의 경우 집 컨디션이 좋지 않아 이사청소비용이 더 나올 수는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당부 드리고 싶은 것은 가능하다면 작업이 끝날 때쯤에는 집에서 눈으로 상태를 확인하고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바로 이야기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이나 이런건 깨끗해 보일 수 밖에 없습니다. 나중에 집에 와서 아 뭐야 왜 이렇게 더러워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답니다ㅠ
오늘 소개해드린 입주청소 비용 및 소요시간에 관한 내용이 도움이 좀 되셨나요? 고객님의 눈과 마음까지 깨끗하게 해드리는 입주청소업체를 찾고 계신다면 오클린으로 연락주세요.
'다양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스캔 vs OCR 뜻과 장단점 비교분석! (0) | 2023.05.02 |
---|---|
기업이사 1위 업체 ChatGPT에게 물어보았다 (0) | 2023.04.04 |
전자문서 vs 종이문서보관 어느 게 더 좋을까? (0) | 2023.03.23 |
hdd파기 하드디스크폐기 비용 디가우징 vs 파쇄 (0) | 2023.03.15 |
문서전자화란 무엇인가? (스캔, OCR, OMR, RPA)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