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이야기

고등학교 전학방법, 조건, 절차 알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학절차 시리즈의 마지막 고등학교입니다!

고등학교는 초등이나 중등에 비해 조건도 까다롭고 절차도 어렵습니다.

 

또한 도, , 군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각 지역에 맞게 잘 알아보셔야 하는데요.

전체적인 흐름은 비슷합니다. 오늘은 서울시를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가장 흔한 유형인 일반고로의 전학방법을 보겠습니다.

 

요즘에는 과거와 달리 학교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서울시교육청홈페이지)를 하면 됩니다.

온라인 접수를 하면 간단하겠죠. 홈페이지에 접수를 하면 담당자들이 확인해서 배정처리를 하는 형태입니다.

 

*전학조건은 중학교와 마찬가지로 다른 도시, 다른 학군으로 거주지를 옮기는 경우에 가능합니다.

 

 

 

 

 

 

 

 

 

 

서울은 그 유명한 강남학교군을 포함해서 총 11개의 학군이 있습니다.

어디까지 내가 갈 수 있는 학군의 학교이고 공립인지 사립인지, 남고인지 여고인지 궁금하실 수 있는대요.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고교홍보사이트인 하이인포에 접속하시면 학군에 속한 학교와 해당 학교의 정보는 물론 소개글까지 보실 수 있습니다.

 

결원현황은 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고등학교 결원현황 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는데요. 지망하는 학교를 쓸 때 결원이 있는 학교를 쓰면 가고 싶은 학교를 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100%가 아닌 이유는 결원현황이 변하기도 하고 접수한 순서대로 처리하기 때문에 같은 날이라도 나보다 먼저 접수한 인원이 배정되어 결원이 채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고등학교의 경우 특성화고, 특수목적고, 자율고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특수목적고 안에서만 해서 과학, 외국어, 예술, 체육, 산업….

다양한 분야로 나눠 지기 때문에 해당 학교의 수업이 자신과 맞지 않거나 다른 꿈을 품게 되는 학생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맘에 없는 수업을 들으며 학교에 다니는 것은 큰 곤욕이겠죠.

그래서 같은 학군이더라도 일반고로 전학이 가능합니다.

 

, 이 경우의 전학은 매우 제한되는데요. 졸업을 앞둔 3학년은 안되고 1~2학년때만 가능합니다.

1학년은 2학기(8~9), 2학년은 1학기(3) 중 공지된 기간에만 허용됩니다.

 

요건은 가족이 서울이 거주하고, 학교장 추천과 무단결석 5일이내입니다.

현재 다니고 있는 학교에 신청하면 결원을 고려하여 교육청에서 배정해줍니다.

 

 

 

 

 

 

 

 

 

 

 

마지막으로 위에 말한 특목고를 비롯한 특수 고등학교로의 전학입니다.

이러한 특수고등학교들은 학교장선발고라고 해서 학생선발에 대한 권한이 학교장에게 있습니다.

 

해당학교의 학칙에 따라 전학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학교에 문의 후 동의서를 발급받아 현재 다니는 학교에 허락을 구해야 합니다.

 

일반고에서 특목고로의 전학은 수시와 정시제도가 있는데 수시는 2학년 1학기까지 가능하며 정시는 1학년은 9, 2학년은 3월 공지된 기간에 가능합니다.

 

오늘 글만 봐서는 사실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육 콜센터 1396번이나 서울시교육청 홈페이지 게시된 전학담당자에게 연락을 주시면 편하게 상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일사천리시스템주식회사 | 정영민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38,일신빌딩 10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05-86-53183 | TEL : 080-337-1472 | Mail : webmaster@1472s.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20-서울마포-1887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